• 역무본부
  • 승무본부
  • 기술본부
  • 차량본부
  • 본사지부
  • 역무본부

    Home > 본부마당 > 역무본부

    출장안마,출장마사지,출장홈타이
    출장마사지출장안마 바나나출장안마 블로그

    마을활동가는 [박원순의 분신]?“의심사고 싶지 않다면 市場에 맡겨라”마을공동체 협동조합

    • 13-09-19 22:38
    • 1,475
    박원숭이의 마을 공동체협동조합이란 이런것, | 자유게시판
    전체공개 3 / 2013.05.01 21:40
    협동조합? 하고 싶으면 해라. 단 서울시 돈만 넣지 말라!”

    김정호 연세대 특임교수 “나는 박원순

    이 두렵다”

    마을활동가는 [박원순의 분신]?...“의심사고 싶지

    않다면 市場에 맡겨라”


    2011년 10월 9일 당시 박원순 서울시장후보가 자신의 핵심 공약인 마을공동체 공약을 발표하는 모습
    ▲2011년 10월 9일 당시 박원순 서울시장후보가 자신의 핵심 공약인 마을공동체 공약을 발표하는 모습.ⓒ 연합뉴스

    잔꾀로 세력을 키우는 놈이다,지 돈 안들이고 세상을 만들려고하는 놈이다,
    박원순 시장이 말하는 마을공동체는 [일종의 감시조직]이다.
    그는 지금 2013년 서울에서 [원시 농경사회]를 꿈꾸고 있다

    경제학과 법학에서 두 개의 박사학위,
    9년간의 자유기업원장 이력과 대학 교수,
    현역 최고령 래퍼이자 가수,
    청소년 소통과 대중소기업간 동반성장을 주제로 한 음반발매 및 랩배틀 뮤직비디오 출연.
    톡톡 튀는 [별난 학자] 김정호 연세대 경제대학원 특임교수가 박원순 시장을 향해 작심하고 독한 충고를 던졌다.

    박 시장이 취임직후부터 각별한 애정을 갖고 추진 중인 서울시의 [마을공동체 사업]을 자신의 정치적 야망을 위해 이용하지 말라는 경고도 함께 했다.

    점점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내는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좌편향성에 대한 우려도 나타냈다.
    그러면서도 [마을공동체 및 마을기업과 긴밀히 연결돼 있는 협동조합이 가진 순기능]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는다고 곁들였다.
    박 시장이 마을공동체 및 협동조합을 향해 쏟아지고 있는 우려를 걷어내길 바란다면,
    시의 예산을 쓰지 않으면 된다는 [심플한] 조언도 했다.
    다음은 김 교수와의 일문 일답이다.



    김정호 연세대 경제대학원 특임교수
    ▲김정호 연세대 경제대학원 특임교수.ⓒ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1. 박원순 시장이 추진하는 마을공동체에 대해 걱정이 담긴 고언을 자주하고 있다.
    박원순 표 마을공동체, 무엇이 문제라고 보는가?


    간단하다.
    결론부터 말한다면,
    박원순 시장이 꿈꾸는 마을공동체의 본 모습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을 바라고 이런 사업을 벌이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현재 서울시가 추진 중인 마을공동체는
    [일종의 감시조직]이란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원시 농경사회 속에서 볼 수 있었던 공동체 개념을,
    서울에서 마을이란 이름을 앞에 붙여 되살리려는 것이라는 의심을 떨칠 수 없다.




    #2. 농촌공동체를 만든다고 해서 문제가 된다? 언뜻 이해가 안 간다.


    우리가 흔히 아는 마을단위의 농촌공동체는
    개인이 임의로 가입여부-활동여부를 선택할 수 없는
    강제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즉, 마을사람이면 누구나 의무적으로 가입하고, 여기서 정한 룰에 따라야 했다
    그런데 현대 도시공동체는 이와 전혀 다르다
    가입여부를 개인이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각각의 개인이 본인의 선택과 필요에 따라 활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 남의 눈치를 본다거나 가입 탈퇴에 부담을 느끼는 일은 없다.
    대표적인 것이 각종 동호회와 사이버 상에서 볼 수 있는 커뮤니티 공동체들이다
    사회적-경제적 생태계가 근본적으로 다른 현대 도시사회에서
    과거 농촌공동체의 모습을 재현한다면 이것은 일종의 퇴행이다
    과거 농촌공동체 아래서 개인의 삶은 공동체라는 이름 앞에서 뒤로 밀렸다
    일도 시간도 개인보다는 공동체가 우선이 된다
    어떻게 보면 일종의 원시 공산사회적 성격을 갖는다
    그런데 서울시의 마을공동체가 이런 농촌공동체의 모습을 띠고 있다는 의심이 든다



    #3. 어떤 면에서 그런 의심을 하는가?


    서울시는 마을공동체 사업을 벌이면서 마을활동가를 양성하겠다고 했다
    여기에 문제가 있다
    결국 마을공동체는 [마을활동가]라는 소수의 사람들에 의해 주도될 것이고,
    이들이 사업과 조직을 장악할 것이다
    이들은 마을을 위한 봉사자일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마을 주민들의 일상을 감시하고 제약하는 감시자가 될 수도 있다
    이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무엇보다 이들은 박 시장과 코드를 같이하는 사람들, 즉 [박원순의 분신들]일 가능성이 높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우파는 풀뿌리 시민사회의 경험이 매우 적다
    반면 좌파는 20여년 전부터 생활협동조합 운동을 시작으로 풀뿌리 지역사회 공동체 활동의 경험이 상대적으로 풍부하다.
    그렇다면 누가 [마을활동가]가 되겠는가?
    결국 좌파 지역사회 운동가들이 [마을활동가]가 될 수밖에 없다.
    벌써 아파트단지는 부녀회를 중심으로 박원순 시장의 영향력이 소리 소문 없이 주민들의 일상생활 속으로 파고들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면 이것은 공론화해야 한다고 본다
    마을공동체든 협동조합이든 주민들이 실체는 알고 스스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김정호 연세대 경제대학원 특임교수
    ▲김정호 연세대 경제대학원 특임교수.ⓒ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4. 마을공동체와 함께 박원순 표 협동조합이
    또 다른 숨은 목적을 갖고 있다는 의혹이 계속되고 있다.



    협동조합의 기본은 동지-동무가 함께 모이는 것이다
    그런데 협동조합은 지금까지 별로 활성화되지 못했다
    그 이유가 근거 법령의 부족이나 제도적 정비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란 견해가 있는데,나는 찬성할 수 없다
    협동조합기본법이 없던 시절에도 원한다면 협동조합을 만들 수 있었고, 실제 여러 종류의 협동조합이 존재해왔다
    그런데 협동조합은 일반화되지 못했다
    그렇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가? 이것이 중요하다



    지난 2월 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시청에서
    ▲지난 2월 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시청에서 '협동조합 활성화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5. 경제적 측면에서 협동조합이 활성화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이라고 보는가?

    협동조합은 기본적으로 조합원들이 1인 1표를 가진다.
    사람들은 근본적으로 소유욕이 있다.
    1인 1표 체제 아래서는 자신이 가진 1표의 권리만큼만 재산을 출연하는 것이 자연스런 심리다
    이런 상황에선 대규모의 자본을 모을 수 없다
    단위가 작으면 코스트(비용)가 엄청 높다
    대규모의 자본을 빠르게 모을 수 있는 일반 주식회사와 비교할 때, 협동조합은 상품의 질과 가격 모든 면에서 열악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소비자는 어느 상품을 선택하겠는가?
    협동조합을 가지고 본격적인 기업비지니스를 한다는 것은 될 일이 아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협동조합이 활성화되지 않은 것도 시장에서 경쟁을 거쳐 도태됐기 때문다
    협동조합을 활성화시키려면 나랏돈을 넣어야 하는데,
    그럴 거면 차라리 그 돈을 복지에 쓰는 것이 낫다.



    #6. 협동조합을 지지하는 이들은 스페인의 <몬드라곤>이나,
    이탈리아 볼로냐의 대규모 협동조합을 성공의 예로 든다.
    박 시장도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본부마당 운영원칙 노동조합 01-17 35837
    356 참여연대 박원순 - 기업 약점 잡아 돈 뜯어내… (1) 퍼오미 09-20 3277
    355 저질 정년 반탱이 퇴직금 만든 원숭이 쫄 윤… (1) 조합원 09-20 1824
    354 서울시 공무원 장기 해외연수 절반이 '6급… 해외연수 09-20 1805
    353 마을활동가는 [박원순의 분신]?“의심사고 싶… 09-19 1476
    352 박원순 “노조가 생기면 종말” 충격적 발언-… 추석 폭탄 09-19 4113
    351 9.25일 대의원 대회시 조합비는 오천원 균일제… 조하번 09-19 950
    350 인천 총조합원 천명중 30%가 승진했고 5.6급 50%… 조합원(펌) 09-19 1268
    349 박원순씨, 928억 어디에 있습니까? 소행성 09-18 1031
    348 희망제작소 무급인턴 논란 -퇴직금을 날로 먹… 소행성 09-18 1843
    347 6개월 똥방위 시장에게-이제는 본인이 불법 … (3) 똥방위 09-17 2211
    346 서지 복직 식물들이 뭘 해결 하겠수? 술먹고 … (2) 후배 09-17 1065
    345 2013년도 제1차 임시대의원대회 소집공고 (1) smslu 09-17 1038
    344 집행부 26일차 서울시청 출근 선전전(역무본… 교육홍보실… 09-17 1121
    343 대표교섭위원장 교섭에 임하는 자세 서지조합원 09-17 974
    342 정년실현을 위한 우리의 요구 (서명양식) smslu 09-16 1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