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아제강 '원칙대응의 힘'…노조, 결국 파업 풀었다-연봉 8200만,민주노총 계열
작성자 : 조합원 / 2013-10-04 23:37:32
| 기사입력 2013-10-04 17:24
과도한 요구 맞서 '직장폐쇄'
세아제강 조합원 400명, 7일 현장 복귀

"평균 연봉 8000만원인데…" 여론 악화에 한 발 물러서

협상 남아 재파업 가능성도

‘과도한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강성 투쟁을 벌여온 세아제강 노조가 회사 측이 직장폐쇄 등을 통해 노조의 임금인상안 수용 불가 입장을 고수하자 파업을 풀고 공장에 복귀하기로 했다. 회사 측과의 임금단체협상 결렬을 선언한 뒤 파업에 들어간 지 한 달여 만이다.

박기준 세아제강 노조위원장은 4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일단 7일(월요일)부터 파업을 풀고 조합원 400명이 현장에 복귀하기로 가닥을 잡았다”고 말했다. 직장폐쇄 등 사측의 원칙 대응에 노조가 한발 물러서면서 공장은 정상 가동하게 됐지만 앞으로 임단협 타결까지는 적지 않는 진통이 뒤따를 전망이다.

국내 1위 강관 제조업체인 세아제강의 노조는 8월28일부터 포항과 창원 공장에서 전면 파업에 들어갔다. 노조는 지난 5월 시작한 임단협에서 기본급 8.8% 이상 인상과 정년 연장(57세→60세), 상여금 인상(730%→800%), 대학생 자녀 학자금 전액 지원(현재 연 800만원 한도) 등을 요구했다.

사측은 노조에 기본급 3.2%, 상여금 750% 인상안 등을 제시했다. ‘임금피크제 도입을 전제로 한 정년 61세 연장’ 등 노조안보다 앞선 제안도 일부 내놨지만 ‘협상안 일괄 타결’을 요구한 노조의 거부로 무산됐다. 대체인력을 일부 투입하는 등 공장이 파행 운영됨에 따라 파업 기간 생산 손실액은 800억원에 달했다. 회사는 “물가상승률 이상의 인상안을 제시했음에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노사가 공멸하자는 것”이라며 강경 대응 방침을 고수했다.

지난달 23일 노조는 강경 투쟁을 위해 조합원 찬반투표를 벌여 74.5%의 찬성으로 상급단체를 한국노총에서 민주노총으로 바꿨다. 이에 맞서 회사 측은 24일 창원공장 직장폐쇄에 들어가는 등 강경하게 대응했다.

회사 측은 당시 “생산 현장으로 복귀한 노조원 20여명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며 “강성 노조원이 창원공장에 들어와 복귀 노조원을 상대로 위협을 가하는 것을 막기 위한 대응”이라고 밝혔다. 노조 측은 이에 대해 “사측이 파업 참여자와 복귀자를 갈라 놓으려는 이간책”이라며 반발했다.

이후 조합원이 상대적으로 적은 창원공장에서부터 이탈자가 발생해 현재 최초 파업 참여자 400여명 중 4분의 1(포항 69명, 창원·부산 26명)이 업무에 복귀했다.

사측은 지난 2일 민노총 본조와 세아지부 등이 참여한 상견례에서 협상안에 대해 이견을 좁히지 못하자 이날 오전 300여명이 파업에 참여 중인 포항공장을 직장폐쇄했다. 회사 측이 강경한 방침을 천명하자 노조 집행부는 투쟁 전략을 바꿔 일단 파업을 풀기로 했다.

박 위원장은 “파업 이탈자가 늘어나는 등 조합원들의 파업 동력이 떨어졌다고 판단돼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며 “앞으로 (임단협) 타결에 방점을 두고 사측과 협상을 벌여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파업 참여 근로자들의 평균임금이 업계에서 8000만원 이상으로 밝혀져 여론이 악화한 것도 노조가 한발 물러선 이유로 보인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이날 오전 ‘세아제강 노조 파업의 문제점’이란 자료를 내고 “세아제강 생산직 근로자 연봉이 동종 강관업체 평균의 2배(8229만원)를 상회하는데도 무리한 요구를 지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파업 사태가 장기화하자 세아제강 노조를 바라보는 지역 여론도 급속히 나빠졌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업계 최고 대우를 받는 세아 근로자와 영세업체가 많은 포항산단 내 다른 강관업체 간의 위화감이 커졌다”며 “노조 측의 요구가 명분과 설득력이 떨어진 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사측은 향후 임단협에서도 노조 측의 무리한 요구에 대해서는 강경 대응할 방침이다. 세아제강 관계자는 “성과에 확실하게 보상을 하되, 무리한 요구는 허용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갖고 협상에 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경총 관계자는 “사측의 원칙 대응에 노조가 투쟁 동력을 잃고 현장에 복귀한 이번 세아제강 사례가 향후 후진적인 노동운동 문화의 개선을 이끄는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박지순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노조가 힘을 과시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것을 얻어내는 시대는 지나가고 있다”며 “제대로 된 협상으로 실리를 잘 챙겨주는 노조가 조합원을 더 많이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